미국의 개인주의, 그 알수 없는 애매함.


어렸을 적에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이 기억이 난다. 
‘우리’나라는 공동체를 중요시 하는 반면에 미국은 개인을 중요시 여긴다고.

그래서 ‘우리’는 ‘우리’집, ‘우리’엄마, ‘우리’아빠, ‘우리’형, ‘우리’선생님 등등,, 을 쓰지만
미국에서는
'My' house, 'My' mom, 'My' dad, 'My' brother, 'My' teacher~ 을 사용한다고 한다.
다 지꺼고 다 내꺼다 

어찌 보면 우리나라처럼 다른 사람 눈치 안보고 살아갈 수 있어서 편할수도 있을 것 같지만 반대로 그 때문에 벌어지는 부정적인 일들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하루는 길을 가는데 한 어린이가 길에서 울고있었다. 
엄마한테 혼이 난 모양이다. 
약 7살 정도로 보이는 어린 꼬마아이가 엄청크게 울면서 엄마에게 하는 말. 



"I’ll call the police!!!" 경찰 부를꺼야!!!!

그러자 더 화가난 엄마는 핸드폰을 뺏어서 바닥에 팽개쳐서 부셔버린다. 그러고서 하는말.

"Call the police now!!" 당장 경찰 불러!!!

그걸 본 나는 벙쪄버렸다.  

또 하루는 이런 광경을 목격했다. 
메이트 토니와 러셀의 말다툼. 
두 명의 덩치 큰 중년들이 싸우는 것을 보고있자니 소름이 돋으면서도 어이가 없어 피식 웃었다.

왼쪽부터 토니, 맥, 러셀


토니 : "이건 내 콜라고!!! 저것도 !!! 내 !!!! 바나나야~~~~~~!!!!!!!!!!!!!!!!!!!!!!!!!!!!"
러셀. 문을 쾅! 닫고 방으로 들어간다.
토니 : 완전 씩씩 거린다. 너무나 화가 난 모습.

토니는 7살 어린이가 아니다. 
적어도 50은 넘은 중년. 
우리나라에선 자신의 음식을 남이 먹어도 저렇게 까지 화를 내진 않는데.
러셀이 토니의 콜라와 바나나를 야금야금 장기간에 걸쳐 먹어왔나???  
알 수가 없다.

길을 지나다니다 보면 핫도그나 햄버거를 먹으면서 돌아다니는 사람들도 종종 보인다. 
서울 한 복판에서 햄버거를 먹으면서 돌아다닐 수 있는 성인이 있을까? 
그만큼 남의 눈치를 보지 않는다. 
살기가 편하다 참. 


그렇다고 이 사람들이 전혀 남을 배려하지 않는 게 아니다.
서로 길가다 부딪치면 자동반사적으로 ‘Excuse me' 혹은 ’sorry'라고 말하고. 
양보 운전도 잘 하고. 
특히 보행자를 먼저 지나가게 하는 운전자의 손짓을 많이 보았다. 
상점이나 건물에 들어갈 때도 뒤에 사람이 있으면 뒷사람이 들어올 때 까지 문을 잡아주기도 하고, 심지어 버스는 자전거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을 위해 버스 몸통에 자전거 주차공간까지 만들어 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 한 5% 부족하다.
‘우리’라는 공동체 보다 ‘나’라는 개인에 더 가치를 두는데서 오는 차이가 한국에서 태어나 20년을 넘게 생활한 나에겐 아직은 많이 낯설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