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날, 아침부터 또 비가 내린다.
나중에야 안 사실인데 플로리다의 서머타임(summer time)엔 하루에도 한두번 짧게 짧게 소낙비가 내린다고 한다.
그래서 덥지만 불쾌하지 않은, 상쾌한 플로리다의 여름.
어쨋든 이날 나는 착찹함을 느낀다. 오늘은 꼭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데,, 착찹하다.
비까지 내리고,,,
9월 25일, 미국에 온지 3일째인데 집에 아직 전화를 안했다.
공중전화는 있는데 하루하루 미루다보니 벌써 3일이다.
불효자.
근처 가게에 들러 국제 전화카드를 사서 번호를 다 눌렀는데도 자꾸 오류가 난다.
국가번호 누르고 핸드폰 번호 눌렀는데 수화기에서 여자가 자꾸 영어로 뭐라뭐라 말한다.
아무래도 뭘 잘못 눌렀다고, 번호를 다시 누르라고 하는 것 같다.
바지는 2개. 티셔츠도 두개, 그나마 하나는 목이 늘어났다. 착찹하다.
유스호스텔 벤치에 앉아 거리를 바라본다.
계속 가만히 있을 수 만은 없어서 옆 사람에게 부탁을 해본다.
미국에서 처음 구입한 전화카드. 가격은 2불, 5불, 10불 짜리가 있고 10불 짜리를 사면 1시간 30분을 통화할 수 있다. 거리에 있는 공중 전화를 이용할 경우 30분정도 통화하면 카드 잔고가 거의 남지 않는다. Metro PCS에서 구입한 핸드폰으로 이 카드를 이용해서 전화하면 1시간 30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나처럼 한국에 자주 전화할 일이 없다면 이 카드를 사용하면 아주 좋다. |
Hello. Can you help me? I don’t know how to use this card.
친절하게도 그 외국인은 자신의 일처럼 도와주었다.
마침내 통화신호가 가고 상대방에선 아빠 목소리가 들린다.
아빠 나에요.
어~ 그래. 잘 있어? 왜 이제 연락을 하니, 너한테 연락이 안와서 엄마가 거의 몸살까지 났어.
엄마 목소리를 듣는데 울컥했다.
잠시 떨어져 있는건데도 아무래도 타국에 혼자 있다보니 엄마 목소리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엄마도 통화내내 티는 내지 않았지만 울컥 하는 목소리가 느껴진다.
이제 전화하는 방법도 알았겠다 집에 자주 전화 해야겠다.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없었던 이유는 이랬다.
번호를 누를 땐 미국번호+국가번호+지역번호+전화번호를 눌러야 한다. 지역번호를 누를 땐 무조건 0을 누르면 안된다. 예를 들어 사는곳이 뉴욕이라면 다음과 같이 번호를 누른다.
미국의 country exit code는 011 이다.
011 국가번호(82) 서울(02) 전화번호(842-8484)
011 82) 2 - 842-8484
우리나라 모든 지역번호의 0만 누르지 않으면 된다.
핸드폰일 경우도 앞의 0을 누르지 않으면 된다.
011 82) 10 - 1234 - 1234
전화를 하고나니 마음이 한결 가볍다.
유스호스텔 벤치에 앉아 거리를 바라보던중 South Beach Language center 라고 써있는 건물이 눈에 들어온다.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을 가르치는 학원인데 여러 국가의 깃발도 달려있고, 건물 자체가 뭔가 귀여운 이미지이다.
내일은 이곳에 한번 가보기로 마음먹고 하루를 마무리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